나는 따뜻한 가슴이 좋습니다...사랑 서신 제072호


어떨 땐 말예요.
혜송님의 편지를 받고서
한참을(한참이랬자 2~3분을 넘진 않을 겁니다)
겉봉을 뜯지 않은 채로 편지 주위를 맴돌며(?)
감상할 때가 있습니다.

혜송님이 보내온 정과 사랑을 단 몇 분간만이라도
아껴 먹으려는 별난 수작인 게지요.
맛난 사탕 닳을 새라 아껴 빠는 어린아이의 심정 같은 겁니다.
그 짧은 시간 동안 요동치는 설레임과 호기심, 두근거림,
그 느낌을 글로서 옮기기가 쉽질 않네요.

왜, 찐빵 먹을 때 두 부류의 사람이 있잖아요.
찐빵의 몸통을 먼저 먹고 앙코는 나중에 먹는 사람과
맛잇는 앙코부터 냅다 먹고 나서 찐빵의 몸통을 먹는 사람.
난 전자의 부류에 해당하는 사람입니다.
매사 이런 성향 탓에 손해 볼 때가 많았던 것 같습니다.

‘아끼면 똥 된다’라는 말이 있잖아요.
아껴둔 걸 끝까지 움켜쥐고 내 걸 만드는 모진 성격도 못되어
아끼다가 결국 남 좋은 일 시키는 경우가 자주 있었지요.
혜송님도 그럴 것 같아 보입니다.
좋은 걸 아껴 두었다가 끝까지 챙기지도 못하고
죄다 남 줘 버리는...

엊그제 혜송님의 편지를 받았습니다.
이번엔 앞서의 얘기처럼 뜸 들이는 일 없이
단숨에 개봉하여 일사천리로 장문의 글을 읽어 내렸습니다.
이번 주는 혜송님을 볼 수 없었던 데다
아팠다는 혜송님을 못내 걱정해오던 터라
편지든, 사람이든 그 무엇인가에 대한 기다림이 간절했었나 봅니다.

혜송님의 이번 글을 통해
그간 고개를 갸웃해 오던 혜송님의 신앙관과
그런 신앙이 어떻게 혜린 님의 생활 속에 접목되고 있는지
또한 그 비중이 얼마나 되는 지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혜송님의 신앙을 어떻게 자신의 이상과 가치관과 잘 결합하고
조화해낼 수 있을 지 정리가 쉽지 않다고 했나요.
나를 탓해야 할까 봅니다.
지난 글에서의 나의 물음은
다소 무리가 따르는 우문이었고 어쩌면 혜송님은
그런 나의 우문에 대하여 현답을 내놓은 것이라 여겨집니다.

어제까지도 옳던 것이 오늘은 옳지 않고,
오늘까지는 옳지 않던 것이 내일은 옳을 수도 있는
가치 혼돈의 시대, 격변의 시대를 살면서
뉘라서 자신의 사상과 이상과 가치관을 딱히
이것이다 저것이다라고 단언하고
나아가 그것을 옳다라고까지 자신할 수 있겠습니까.

사실, 나 역시도 과학적 이론과 논리로써
나의 사상, 나의 이상, 나의 가치관을
명약관화하게 정리해낼 자신이 없습니다.
혜송님의 말처럼 그게 옳은 것인지,
다른 사람들과 세상 앞에 떳떳이 내세울 수 있는 것인지도
이제는 감히 자신할 수도 없습니다.

그러나, 단 한가지 분명하게 확신할 수 있는 건
시공을 초월하여 영원히 변치 않고 추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사랑입니다.
인간 사랑 !

홍세화 님의 <나는 빠리의 택시 운전사>라는 책에
이런 말이 소개되어 있더군요.
“삶은 곧 사랑이며, 삶의 가치관은 곧 사랑의 가치관이다.”

혜송님에겐 꿈이 있다 했지요.
사랑을 배우고 싶은 꿈.
쉽게 실망하지 않고 인내할 줄 아는 사랑,
모나지 않고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사랑,
오래도록 참고 기다리는 사랑,
하나도 남김없이 다 쏟아붇는 사랑,
박제화된 사랑이나 명제화된 사랑이 아니라
실제 살아가며 나누는 사랑,
주변의 이웃들과 서로 돕고 아끼는 사랑,
절망하고 있는 이들에게 희망을 주는 사랑,
그런 사랑들로 충만한 공동체를 갈구한다는 혜송님의 꿈,
그게 바로 혜송님의 사상이자 이상이고 가치관이 아닐까요.
나의 그것들과도 같은 맥입니다.
사상과 이상과 가치관이란 게
현란한 이론과 논리로 무장된 무슨 ‘...주의’라는 식으로
꼭 표현되어야만 하는 건 아니지요.
과학적 이론과 논리로 뒷받침될 수 없다 해서
사상과 이상과 가치관이 없다라고 할 순 없겠지요.

우리가 지닌 사상과 이상과 가치관이란 게
인류 보편의 이상과 지향과 가치와 무에 그리 별 다른 것이겠습니까.
그것은 결국 정의로운 사회, 민주적인 사회, 인간적인 사회를
건설하자는 것 아니었습니까.
혜송님의 표현을 빌자면 ‘사랑이 충만한 공동체’의 건설일 터이고요.
다만 문제는 그 실천의 방법론이 어떤가 하는 것이겠지요.

인류 보편의 지향과 이상과 가치를 추구하는 그 방법론에서
인류는 역사적으로 숱한 논쟁과 시행착오를 거쳐왔고
인류사가 끝나는 그 순간까지 그 정답을 찾기 위한 노력은
계속될 것이며 어쩌면 이 정답을 찾아가는 과정이
곧 인류사 그 자체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당장 우리 주변에서 보면 그 실천적 방법을 두고
장기표 선생은 자신의 신진보 구상에서 역설했듯이
‘지배와 투쟁의 인간 관계(ML적이고 주사적 방식 등의 냉전적 방식)가 아닌
상호 조화하고, 상호 인정하고, 상호 통합하는 네트웍의 인간 관계
(21세기적 방식, 새로운 방식)‘을 제시했고,
<나는 빠리의 택시 운전사>의 저자인 홍세화 선생 같은 경우는
프랑스 사회의 “똘레랑스‘를 대안으로 소개하고
있는 경우라 하겠습니다.
그리고 혜송님은 ‘사람된 도리를 다하며 살자는 바램’,
‘다른 사람에게 피해 주지 않고 할 수 있는 만큼 나누며 살자는 바램’이라는
평범하고 소박하면서도 가장 보편적인 소망으로 표현하였습니다.
아무튼 이 모든 대안들이 ‘인간 사랑’을 제일로 놓는 것이라면
그것은 일단 바람직하고 정답에 근접한 것이라고 해도 되지 않을까요.

굳이 나의 사상과 이상과 가치관을 그 무슨 ‘주의’로
표현하라면 나는 그것을 ‘인간적 사회주의’라고 하겠습니다.
내가 지향하는 사회는
지나치게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은 ‘따뜻한 사회주의’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따뜻한 사회주의란 인간 사랑을 제일로 놓는
‘인간적이고 민주적인 사회’를 말함입니다.
그러기에 그 실천의 방식 또한 물리적 대립과 적대적 투쟁이 아닌
‘사랑과 조화’의 방식, 즉 인간적이고 민주적인 방식에 의거해야
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입니다.
세상은 변했고 변화한 세상은 이제 ‘적대적 대립과 물리적 충돌’을
‘악’이라 하고 ‘상생조화’를 ‘선’이라 합니다.
나는 그런 변화된 인식들에 다분히 동의합니다.

늘 말해왔듯이 난 차가운 머리에서 나오는 냉철한 논리보다는
따뜻한 가슴에서 우러나는 정과 사랑이 한결 더 좋습니다.
원칙보다는 유연함이 좋고 충돌보다는 조화와 상생이 좋습니다.
심지 굳고 논리적인 사람, 자신의 사상과 이상과 가치관을
냉철한 논리로 언제나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해 낼 수 있는 사람의 가슴은
아주 차갑거나 뜨거울 수는 있어도 따뜻함과는 거리가 다소 있어 보입니다.
내가 혜송님이 늘 곁에 있음을 기뻐하는 것도
적어도 혜송님은 견고한 원칙과 냉철한 논리를 앞세우는 경직된 사람이 아니라
유연하고 포용력 있는 따뜻한 가슴을 지닌 사람이란 생각을 갖기 때문입니다.

혜송님,
모쪼록 오늘 나의 이러한 언급들이
혜송님의 그간의 우려를 불식하는 것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우리는 지나치게 차갑거나 뜨겁지 않고 언제나 따뜻한 가슴으로
세상과 인간과 서로를 대할 수 있게 되기를 소망하여 봅니다.

며칠 앓았다더니 이젠 좀 어떤가요.
내게는 혜송님이 아팠다는 말이 천근 만근 추의 짓누름이 됩니다.
끼니 거르기 없기입니다 !
규칙적인 운동하기입니다 !
그래서 항상 언제나 늘 건강하기입니다 !


오래 전 5월 27일 **옥에서

0 comments: